본문 바로가기

급시우의주식여행

(26)
★★★다음 티스토리 운영중지 먼저, 양해를 구할께요. 다음의 티스토리는 12월 18일부로 더 이상 글을 쓰지 않기로 했습니다. 제가 장중에 트레이딩도 해야하고, 또 상황도 설명을 드려야 하는데 네이버 블로그와 두 곳에 글을 쓰려니 무척 힘이들어요. 앞으로는 네이버 블로그(blog.naver.com/lcn811)에만 글이 올라올 것입니다. 아주 오랜동안 저의 향기로운 아침여행이라는 아침편지와 경제독서 이야기를 써왔었는데요. 참 다음과는 오랜 인연이었습니다. 더 이상 다음 블로그와 다음 티스토리는 글을 쓰지 않으니 이 점 널리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식여행은 언제나 향기롭습니다.
★S&P500의 PER VS PBR 아주 높아 미국의 추가경기부양책과 연준의 비둘기적인 스탠스에 따라 미국시장이 신고가를 경신하며 모두 강세로 마감이 되었습니다. 여기에 따른, 미국 S&P 500의 PER과 PBR이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연준의장 파월은 미국의 채권금리가 1%되지 않는 상황에서 높게 받고 있는 PER과 PBR은 높다고 볼 수 없다는 의견을 피력했습니다. 하지만, 누가 보더라도 평균치와 비교해서도 높습니다. 미국 S&P 500의 PER 평균은 15정도이고, PBR 평균은 2.8배 정도입니다. 현재 코로나19를 통한 실업실업수당의 88만5천으로의 증가 등 코로나19 현재의 상황은 전혀 주가흐름에 고려대상이 아닌것으로 보입니다. 시장은 오직 보고자 하는 포스트 코로나19 이후를 대비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2021년 2분기에 가장 강하게 ..
★공포와 탐욕지수 71로 낮아져 90을 넘나들던 공포와 탐욕지수가 조금 낮아졌습니다. 71까지 내려와 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7가지 데이타를 참고로 수치가 확정이 되는데요. 다음과 같습니다. 지금은 아주 과욕인 상황은 아니고 일부 탐욕이 자리를 잡고 있는 형국이다 이해를 하시면 좋겠습니다. 주식여행은 언제나 향기롭습니다.
★2년12개월만의 달러 최약세국면 2018년 1월 1일 88.954를 기록하며 최고의 달러약세 흐름 이후 강세반전되어 100에 접근을 하던 달러인덱스가 오늘 현재 89.773으로 지속해서 약세기조를 이어가며 90을 깨고 내려왔습니다. 어제 방송에서도 전해드렸지만, 미국의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에게 벵크오브아메리카 은행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달러자산은 매도입니다. 현재 미국 연준의 비둘기적인 스탠스도 그렇고 추가적인 경기부양책 9천억달러에 대한 합의가 거의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지속해서 미국 달러화의 약세가 진행중입니다. 다만, 달러/원의 1,094원을 기록하고 있어 이전의 강한 원화가치 상승이 조금 멈칫거리고 있습니다. 달러약세와는 반대로 원화약세가 일부 동반해서 진행중입니다. 물론, 장중에 외국인의 선물진입과 현물진입 등 상황에 따라 유..
★미국도 시총상위 기업에 집중현상 미국의 S&P500 시가총액 상위 10개의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대단히 빠른 속도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코로나19로 인하여 사람과 대면하는 업종의 주가가 폭락을 하고 회복이 더딘 상황에서 비접촉으로 인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수요가 폭발하면서 이루어진 일입니다. 넷플릭스가 2020년도에 70%정도 주가상승율을 보이면서 가장 가파르게 증가를 했고, 애플 등 시총상위주의 흐름들도 50% 전후로 강한 상승흐름을 주도했기 때문입니다. 현재 S&P500의 PER은 37.30배, PBR은 4.10배입니다. 벨류에이션은 상당히 높게 나오고 있는 편입니다. 이렇게 된데는 모두 시가총액 상위주의 흐름들에 그 요인이 있습니다. 현재 10개기업이 S&P500의 32.4%를 차지하고 있고,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
★좁혀지는 회사채 스프레드 시장이 안전자산을 선호하느냐 위험자산을 선호하느냐에 대한 지표중의 하나입니다. 정크본드 스프레드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아무래도 국채가 회사채보다는 더 안전합니다. 따라서, 경제위기가 오면 국채선호 현상이 많아지고 국채매입의 수요가 늘어 국채금리는 하락을 하게되죠, 반대로 기업들은 위험에 직면을 하게 되니 회사채를 발행하는데 높아져야 합니다. 따라서 회사채 금리는 높아지고 국채금리는 낮아지니 스프레드 즉, 금리차가 커지게 되며 스프레드는 확대가 됩니다. 반대로, 경제가 안정이 되면 국채수요가 줄고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수익률이 더 높아지기 때문에 위험을 감내하고 주식 등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며 국채를 발행하는데 수요가 적으니 더 금리를 높여야 합니다. 반대로 회사채는 경제위..
★12/16 전반적인 강세 이어질 듯 12월 15일 미국시장이 은행주를 필두로 반도체, 에너지 등 전반적인 강세흐름이 전개됨에 따라 우리시장도 이를 추종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16일 아침입니다. 미국시장이 모두 1%이상 초강세로 마감이 되었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와 마이크론 역시 강세흐름을 보였습니다. 필리델피아 반도체 지수 역시 1.14% 상승을 하며 잠시 숨고르기를 하다가 재차 상승반전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의 마이크론 역시 2.25% 뛰어오르며 초강세 흐름이 이어졌고 이러한 전반적인 반도체 지수의 상승과 맞물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시장주도는 지속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어제는 11월 30일 이후 횡보를 보이던 은행주들의 가파른 상승흐름이 전개가 되었습니다. 모건스탠리의 3.35% 상승을 비롯해 전반적으로 은행주들의 ..
★반도체 가격 혼조 VS 디램익스체인지 지수 올라 오늘 20분 일찍 반도체의 현물가격들이 발표가 되었는데요, 다소 가격은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하락폭은 크지 않고 DDR4 8G제품이 크게 올랐습니다. 3.45달러까지 올랐는데요. 디램익스체인지 반도체 지수도 강세를 보이며 지속해서 오르고 있습니다. 1.10% 더 오르며 21334.78로 마감이 되었네요. 현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특징은 조정시 크지 않고 상승은 강하게 나오고 있는 전형적인 강세종목의 특징을 보이고 있습니다. 주식여행은 언제나 향기롭습니다.